일을 위해 없어서는 안될.

인터넷이 되는 전세계 모두를 위해

our story

모두를 위한
하나의 서비스.

일을 편하게 해주는 기능 단위의 서비스들은 너무나 많아졌습니다. 결국 내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각각 따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죠. 한개에서 두개, 세개에서 열개로 도입되는 서비스가 늘게되면, 수 많은 브라우저에, 수많은 알림을 받게 됩니다.
도입된 서비스만큼 내 정보들은 분산되어 찾을 수도 없게 되었죠.

그래서 우리는
어느 조직이든, 어떤 일이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고
군더더기 없는 하나의 서비스 를 만들려 합니다.

그것이 이 여정의 시작입니다.

어떻게 하면
그런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요.

bundles

대다수의 유저는 서비스의 핵심 기능 1~2개만을 쓰며, 나머지 기능은 쓰지 않았습니다.
그리고 약 30%의 기능은 모든 서비스에서 공통적 으로 겹치죠.

그래서 우선 공통적으로 겹치지만,
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번들화 했습니다.
예를 들면 '검색', '알람', ' 채팅' 같은게 해당되죠.

30%

WORK solution

그리고 업무특성을 카테고리화 하여 선택가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
업무특성에 따라 일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죠.
이것이 로켓워크 안에서 선택하는 'WORK솔루션'입니다.

function Modules

마지막으로 WORK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
수 많은 기능들을 모듈화하여 선택해서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.
기능단위의 서비스들의 핵심 기능만 단순화시킨 것이 '기능 모듈' 입니다.

bundles
WORK solution
function Modules

즉, 번들기능 + WORK솔루션 + 기능모듈 의 조합으로
"어느 조직이든, 어떤 업무든 유연하게 적용가능하게"
필요한 것만 선택하게 함으로 써,
"군더더기 없는 하나의 서비스"가 될 수 있었습니다.

앞으로 우리가 할 것은,

선택가능한 솔루션과 기능모듈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것입니다.
더이상 유저가 다수의 서비스를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,
로켓워크 안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말이죠.

로켓워크의 월드를 만들 것입니다.
우리의 여정은 이제 시작입니다.

그런데 왜
마이크로프트 인가요?

로켓워크 안에서 나의 모든 일이 정리된다면
chatGPT와 같은 AI가 일반적인 답변을 하는것이 아니라,
로켓워크 안에서 일어난 일을 기반으로 답변을 하게 됩니다.

더 밀접한 AI가 탄생하게 되죠.
우리는 이 AI를 '셜록' 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.

소설 속 '셜록 홈즈'는 언제나 문제를 해결해 내죠.
그런데 셜록홈즈에게 일을 지시하는 존재가 있습니다.
그게 마이크로프트 홈즈입니다.

로켓워크 안에서 일을 도와주는 AI는 셜록,
그것을 만들어내는 우리는 마이크로프트입니다.